사회적 기업가의 길 강의 초안
through 한국지식재산 관리재단
□ 이승우의 소개 ; 링크나우 프로필 to 소상공인 진흥원
□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소개
►엄혹한 시장의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
►생존과 원칙으로써의 협업의 중요성
□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?
►예산을 지원받는다는 개념에서 벗어나야
►개인이든 기업이든 모든 이익은 사회로부터 얻은 것 - 사회로 되돌려주어야
►생산 활동 창조활동 영업활동의 모든 과정이 얼마만큼 사회와 호흡하느냐에
그 성패가 달려있음
□ 사회적 기업의 현황 : 업종 , 자립정도 , 정책동향과 정책의지 등
□ 사회적 기업의 설립절차 : 법제화 내용 사례 등
□ 사회적 기업의 성공 조건
►창업가 / 소셜 플래너로써의 마인드
►시장을 마켓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삶의 터전으로 보는 시각
►현재의 시장 안에서의 확실한 자기정체성 확보
►내가 팔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사회 또는 커뮤니티의 필요를 충족시켜야
►기존의 마케팅 방식을 넘어서서 소셜 마케팅 방법으로 혁신해야
►마케팅 또는 유통을 사람과 사람사이 또는 커뮤니티와의 소통으로 보는 생각의 혁신
( 비즈니스의 전과정을 사람들 사이의 진실한 소통과정으로 봐야 함 )
►성공 실패사례 분석
□사회적 기업의 내용인 향토자원의 중요성
►실패하는 대부분의 상품과 서비스는 사람들에게 그 효용이 불확실
►향토자원은 오랜 역사를 통해 사람들 사이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아이템
►이런 측면에서 향토자원은 사람들을 설득하기 쉬운 아이템
►리스크가 없는 안전 창업 아이템으로써의 향토자원
□현대 시장경제의 부정적 요소의 대안으로써의 사회적 기업
►승자독식의 경제
►적절하지 못한 패배자의 양산
►일방적 상품생산과 유통의 극복대안으로써 커뮤니티와 그 구성원인 사람들과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
►새로운 사회적 관계는 수직적인 아닌 수평적 관계
►고용 피고용의 물화된 사회관계가 아닌 사람과 커뮤니티의 살아있는 필요를 소 통하고 생산 서비스하는 동업자로써의 관계 구축
□사회적 기업의 마케팅 전략
►내가 팔고 싶은 것이 아니라 내 이웃, 내 커뮤니티가 필요로 하는 것을 생산하 고 유통하려는 태도가 필요
►사회의 필요를 연구하고 그것에 맞추어 상품과 서비스 재편성
►자신만의 콘텐츠(향토자원)을 갖추고 브랜드를 구축한 이후 커뮤니티 속에서
신뢰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해서 관련분야 사람들과 소비자 들의 사랑을 받는 플랫폼을 만들어 성실하게 임하는 것이 마켓팅의 출발이자 종착지
►기존의 매스미디어 중심의 마케팅 의식을 극복해야함 . : 소셜웹 적극 활용
□소셜웹이란 무엇인가?
►사회적인 그물망을 의미하며 수직적이기 보다는 수평적인 진화된 사회관계
►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다양한 웹 도구(블로그/트위터/페이스북/다양한 협업도구) 들의 발전으로 영위할 수 있는 터전이 넓어짐
►소셜웹에서의 정체성 : 블로그
□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소개
►엄혹한 시장의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
►생존과 원칙으로써의 협업의 중요성
□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?
►예산을 지원받는다는 개념에서 벗어나야
►개인이든 기업이든 모든 이익은 사회로부터 얻은 것 - 사회로 되돌려주어야
►생산 활동 창조활동 영업활동의 모든 과정이 얼마만큼 사회와 호흡하느냐에
그 성패가 달려있음
□ 사회적 기업의 현황 : 업종 , 자립정도 , 정책동향과 정책의지 등
□ 사회적 기업의 설립절차 : 법제화 내용 사례 등
□ 사회적 기업의 성공 조건
►창업가 / 소셜 플래너로써의 마인드
►시장을 마켓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삶의 터전으로 보는 시각
►현재의 시장 안에서의 확실한 자기정체성 확보
►내가 팔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사회 또는 커뮤니티의 필요를 충족시켜야
►기존의 마케팅 방식을 넘어서서 소셜 마케팅 방법으로 혁신해야
►마케팅 또는 유통을 사람과 사람사이 또는 커뮤니티와의 소통으로 보는 생각의 혁신
( 비즈니스의 전과정을 사람들 사이의 진실한 소통과정으로 봐야 함 )
►성공 실패사례 분석
□사회적 기업의 내용인 향토자원의 중요성
►실패하는 대부분의 상품과 서비스는 사람들에게 그 효용이 불확실
►향토자원은 오랜 역사를 통해 사람들 사이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아이템
►이런 측면에서 향토자원은 사람들을 설득하기 쉬운 아이템
►리스크가 없는 안전 창업 아이템으로써의 향토자원
□현대 시장경제의 부정적 요소의 대안으로써의 사회적 기업
►승자독식의 경제
►적절하지 못한 패배자의 양산
►일방적 상품생산과 유통의 극복대안으로써 커뮤니티와 그 구성원인 사람들과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
►새로운 사회적 관계는 수직적인 아닌 수평적 관계
►고용 피고용의 물화된 사회관계가 아닌 사람과 커뮤니티의 살아있는 필요를 소 통하고 생산 서비스하는 동업자로써의 관계 구축
□사회적 기업의 마케팅 전략
►내가 팔고 싶은 것이 아니라 내 이웃, 내 커뮤니티가 필요로 하는 것을 생산하 고 유통하려는 태도가 필요
►사회의 필요를 연구하고 그것에 맞추어 상품과 서비스 재편성
►자신만의 콘텐츠(향토자원)을 갖추고 브랜드를 구축한 이후 커뮤니티 속에서
신뢰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해서 관련분야 사람들과 소비자 들의 사랑을 받는 플랫폼을 만들어 성실하게 임하는 것이 마켓팅의 출발이자 종착지
►기존의 매스미디어 중심의 마케팅 의식을 극복해야함 . : 소셜웹 적극 활용
□소셜웹이란 무엇인가?
►사회적인 그물망을 의미하며 수직적이기 보다는 수평적인 진화된 사회관계
►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다양한 웹 도구(블로그/트위터/페이스북/다양한 협업도구) 들의 발전으로 영위할 수 있는 터전이 넓어짐
►소셜웹에서의 정체성 : 블로그